반응형

회사의거짓말 2

회계연도 기준 연차에서 손해보지 않는 법 by 건오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연차수당을 계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는 근로기준법에 나와 있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회사가 자기들 편하려고 아무 근거 없이 사용하던 방법인데 노동부와 판례가 “근로자에게 불리하지 않으면” 허용해 주고 있는 방식입니다. 언제 퇴사해야 연차수당 계산에서 유리할까? by 럇 언제 퇴사해야 연차수당 계산에서 유리할까? by 럇 1. 회사를 떠날 결심을 하다 회사생활을 하다 보면 '아 도저히 이 회사는 더 못 다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직을 결심하게 되고 최대한 내가 손해를 안 보려면 mymoneybook.tistory.com 1. 입사일 기준 근로기준법의 규정을 보면 모든 직원의 연차는 각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여기..

대법원 통상임금 신의칙 판결과 회사의 거짓말 by 건오

2021년 12월 16일 현대중공업 통상임금 사건에서 대법원이 근로자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회사(경영계)에서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 그 우려는 과연 맞는 말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경영계의 우려’에 담긴 거짓말을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http://im.newspic.kr/GqMb34J 재계 ‘현대重 통상임금’ 대법 판결에 우려…“경영 불확실성 증대” 재계는 6000억원대 현대중공업 통상임금 소송에서 사실상 노조 측 승소 판결을 내린 이번 대법원판결에 대해 ‘신의성실의 원칙’을 인정하지 않아 기업 경영의 불 im.newspic.kr 1.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성과 신의칙? 이미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해당한다는 대법원 판례는 수년 전에 나왔습니다. 다만 당시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