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사용연차수당 3

퇴사할 때 연차수당 정말 제대로 받으셨나요? by 건오

1년을 초과하여 회사를 다니다가 퇴사를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마지막 달 급여, 퇴직금, 미사용 연차수당을 정산받게 됩니다. 그런데 회사가 계산해서 준 연차수당 정말 맞게 받은 걸까요? 이번 글은 얼마 전 진행 한 크몽 내 월급 지키기 상담 사례입니다. 정말로 안타까운 것이 이렇게 법에 대해 잘 모르면 당합니다. 내 하루의 거의 대부분 그리고 내 인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직장생활에서 이러한 법적인 내용을 모른다는 것은 보호장비 없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장을 돌아다니는 것과 같습니다. 1. 상담 사례 얼마 전 크몽을 통해 상담신청이 하나 들어왔습니다. 퇴사를 했는데 아무리 봐도 연차가 이상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2020년 11월 2일 입사, 2021년 12월 17일 퇴사 (1년 1..

미사용 연차수당 노동부 행정해석 변경, 결국 366일 이상 일하라는 의미 by 럇

이제부터 직장인에게 1년은 366일입니다. 얼마 전 1년 계약직의 미사용 연차수당에 관한 2021년 10월 14일 대법원 판례와 관련하여, 언제 퇴사하는 것이 유리한지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바로 “n 년을 채우고 하루를 더 근무해야 한다.” 였는데요. 오늘 2021년 12월 16일 이와 관련하여 노동부에서도 미사용 연차수당 지급기준에 관한 행정해석을 변경하였습니다. 언제 퇴사해야 연차수당 계산에서 유리할까? by 럇 언제 퇴사해야 연차수당 계산에서 유리할까? by 럇 1. 회사를 떠날 결심을 하다 회사생활을 하다 보면 '아 도저히 이 회사는 더 못 다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직을 결심하게 되고 최대한 내가 손해를 안 보려면 mymoneybook.tistory.com 변..

언제 퇴사해야 연차수당 계산에서 유리할까? by 럇

1. 회사를 떠날 결심을 하다 회사생활을 하다 보면 '아 도저히 이 회사는 더 못 다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직을 결심하게 되고 최대한 내가 손해를 안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하게 되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연차휴가입니다. 회사 다니는 동안 회사 눈치와 압박 때문에 제대로 써보지도 못한 연차휴가인데, 적어도 퇴사하는 순간까지 손해를 보고 싶지는 않은 것이 많은 직장인들의 솔직한 마음일 것입니다. 그럼 언제 퇴사를 해야 연차휴가에서 손해가 없게 될까요? 2. 입사일 기준 연차계산 vs 회계년도 기준 연차계산 연차휴가 발생 기준이 복잡하고 헷갈리는 이유는 바로 회계년도 기준이라는 낯선 계산방식 때문입니다. 원래 근로기준법에서는 오직 각 개인별로 입사일에 따른 연차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