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계년도기준 3

회사가 회계연도 기준 연차를 고집하는 이유 by 건오

1. 회계연도 기준 연차 프로그램 만들기 그런데 요즘은 대부분의 회사들이 인사관리를 포함한 업무를 ERP 등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하고 있습니다. 즉, 일정한 규칙과 루틴이 있다면 얼마든지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고, 이를 관리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러면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입사일을 기준으로 최초 1년은 한 달 만근일 때 1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1년 이후부터는 연 단위로 근속연수에 따라 15~25일의 연차를 부여하는 방식과 회계연도라고 하는 특정일을 기준으로 모든 직원들 각각의 입사일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부여하는 방식 중 어느 것이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래밍하기가 쉬울까요? 대부분의 회사원들이 회계연도 기준 연차 부여 방식에 대해 어려워합니다. 법학을 전공하고 노동법을 공부한 적이 있는 경우..

퇴사할 때 연차수당 정말 제대로 받으셨나요? by 건오

1년을 초과하여 회사를 다니다가 퇴사를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마지막 달 급여, 퇴직금, 미사용 연차수당을 정산받게 됩니다. 그런데 회사가 계산해서 준 연차수당 정말 맞게 받은 걸까요? 이번 글은 얼마 전 진행 한 크몽 내 월급 지키기 상담 사례입니다. 정말로 안타까운 것이 이렇게 법에 대해 잘 모르면 당합니다. 내 하루의 거의 대부분 그리고 내 인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직장생활에서 이러한 법적인 내용을 모른다는 것은 보호장비 없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 현장을 돌아다니는 것과 같습니다. 1. 상담 사례 얼마 전 크몽을 통해 상담신청이 하나 들어왔습니다. 퇴사를 했는데 아무리 봐도 연차가 이상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2020년 11월 2일 입사, 2021년 12월 17일 퇴사 (1년 1..

언제 퇴사해야 연차수당 계산에서 유리할까? by 럇

1. 회사를 떠날 결심을 하다 회사생활을 하다 보면 '아 도저히 이 회사는 더 못 다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시점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직을 결심하게 되고 최대한 내가 손해를 안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하게 되는데요. 그중 하나가 바로 연차휴가입니다. 회사 다니는 동안 회사 눈치와 압박 때문에 제대로 써보지도 못한 연차휴가인데, 적어도 퇴사하는 순간까지 손해를 보고 싶지는 않은 것이 많은 직장인들의 솔직한 마음일 것입니다. 그럼 언제 퇴사를 해야 연차휴가에서 손해가 없게 될까요? 2. 입사일 기준 연차계산 vs 회계년도 기준 연차계산 연차휴가 발생 기준이 복잡하고 헷갈리는 이유는 바로 회계년도 기준이라는 낯선 계산방식 때문입니다. 원래 근로기준법에서는 오직 각 개인별로 입사일에 따른 연차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