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합단체 3

민주노총 산하로 들어가기 by 럇

노동조합을 만들고 싶은데 앞선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회사의 감시가 심해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는다면 독립한 기업별 노동조합을 만들었는데 너무 힘이 없어서 만들기 전보다 오히려 회사에서 버티기가 힘들다면 이왕 노조 만들었는데 한 번 미친놈처럼 갈 때까지 가보고 싶다면 역시 길은 민주노총입니다. 비록 온갖 안좋은 소리를 듣는 연합단체이지만, 그만큼 영향력은 막강합니다. 일단 우리나라 양대 대기업인 삼성과 현대 중 현대를 말아먹고 있는 모습만 봐도 알 수 있지요? 또한 삼성을 포함한 무노조 사업장을 추구하는 기업가들에게 가장 큰 공포의 시나리오는 민주노총 조합원이 우리 회사에 잠입해서 취직하고 내부에서 민주노총 소속 노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물론 기업별 노조건 한국노총 노조건 노조 자체가 싫기는 하지만, 생기..

노동조합 연합단체 소속으로 들어가기 by 럇

독립한 기업별 노동조합을 운영하는데 부담이 크다면, 양대 노총 산하로 들어가는 방법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둘 중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면 민주노총 소속보다는 한국노총 소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선택하겠지만, 각자의 사정과 생각은 다를 수 있으니 그 부분은 각자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연합단체(민주노총, 한국노총, 한국노총 산하 금속노련) ▼ ▼ 산하 산별노조(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기업별 노조 가입 가능 (개별 근로자 가입 가능) (개별 근로자 가입 불가) 앞선 글 에서 언급했듯이, 양대노총 산하에 들어가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직접 연합단체에 소속된 기업별 노동조합이 되는 방법과 연합단체 산하의 산별 연합단체(ex) 금속 노련 등)에 소속된 기업별 노동조합이 되는 방법이죠. 물론..

노동조합을 만드는 두 가지 방법 by 럇

회사가 지금 여기까지 성장한 데에는 분명 뛰어난 리더의 혁신적이고 결과적으로 적절한 의사결정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혹은 그 이상으로 회사의 이익을 위해 열심히 일한 당신의 역할도 분명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런데 언제나 그 공은 위쪽에서만 독차지를 합니다. 그 의사결정을 본인들은 스스로 했다고 여기고 내 공이라 외치지만 그 과정에서 수많은 데이터를 취합하고 정리하고 최선책부터 플랜 B, C 등등 까지 유치원생이 봐도 알 수 있게 정리해서 준 것은 당신입니다. 애초에 그걸 보고도 결정을 못 내릴 거면 지적 수준이 떨어지는 겁니다. 회사가 잘 되고 있지만 그래서 성과급이 나오기는 하지만 회사는 언제나 앞으로 점점 어려워지고 어찌 될지 모르기 때문에 벌어들인 모든 이익을 전부 분배할..

반응형